swift code (우리은행, 국민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)

swift code 는 해외 송금업무를 할 때 꼭 필요한 은행 식별코드입니다. 은행 식별코드인 swift code 를 알아야지만 해외로 돈을 보내거나 받을 수 있습니다. swift code는 8자리에서 11자리로 구성되어있는데요.

일반적으로 은행에 전화로 물어보면 알수 있지만, 그럴 시간이 없을 때 국내 은행이나 해외 은행의 swift code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



swift code


위 이미지와 같이 일반적으로 11자리로 되어있습니다. AAAA - 은행코드, BB - 국가코드, CC - 지역코드, DDD - 지점코드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.

DDD(지점코드)의 경우 없는 은행도 있습니다. 그렇기때문에 보통 8자리에서 11자리로 구성이 됩니다.

전세계 swift code는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국내 은행의 경우는 제가 포스팅 하단에 따로 정리를 해놓았습니다. 급하신 분들은 그 부분을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.


스위프트코드 홈페이지



홈페이지로 이동하시면 이렇게 나라별 은행을 모두 검색하실 수가 있습니다. 각 은행의 본점 영문주소까지 나오기때문에 본점 영어주소를 해결하기에도 편리합니다.

그럼 Korea로 들어가서 국내 은행의 스위프트코드를 알아볼까요?



위 이미지는 한국의 각 은행별 스위프트 코드입니다. 입력시 주의하셔야 할 점은 대문자명입니다. 스위프트 코드를 입력하실 때에는 꼭 대문자로 입력을 해주셔야 합니다. 은행명의 경우는 위 이미지와 같이 대문자, 소문자에 유의해주셔야 합니다.

한국 은행의 목록을 살펴보면 경남은행, 광주은행, 국민은행, 기업은행, 농협, 대구은행, 부산은행, 스탠다드차타드은행, 신한은행, 외환은행, 우리은행, 우체국, 전북은행, 제주은행, 하나은행, 한국시티은행 등 모두 나와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.


증권사 스위프트 코드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. KDB대우증권, 대신증권, 동양증권, 메리츠증권, 미래에셋증권, 우리투자증권, 하나대투증권, 현대증권 등 해외 송금업무를 이용할 수 있는 증권사도 모두 이곳에서 확인가능합니다.

해외송금시에는 해외송금 수수료가 들어가는건 알고계시지요? 그 부분도 꼭 참고해서 계산해주시기 바랍니다.

이번 포스팅에서는 swift code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. 감사합니다.


이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

링크를 추가해주세요


공감은 로그인없이도 가능합니다.

저에게 힘을 주세요.

TAGS.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