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도별 물가상승률 정리
지난 2월 한국의 인플레이션(YoY)이 1.4%를 기록하였다고 3월6일 통계청에서 발표하였다.
같은 기간의 생활물가지수 또한 1.4% 증가하였는데 그중 식품이 +1.9%, 식품이외가 +1.1%의 변화를 보였다.
특히 신선식품의 물가상승이 돋보였는데, 신선과실 +5.6%, 신선채소 +3.5% 등의 상승률을 보여서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대비 +4.3%를 기록하였다.
지출목적별로는 가정용품 이나 가사서비스 가 +2.2%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음식 이나 숙박 +2.8%,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+2.2%, 주택, 수도, 전기료 및 연료는 +1.4% 등의 순이었으며 통신 부문은 -0.2% 하락하였다.
지역별 소비자물가상승률도 다소 큰 차이를 보였는데 제주, 인천, 전북의 경우에는 각각 2.0%, 1.7%, 1.7% 의 인플레이션을 기록하였고, 광주나 울산, 경남지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.1%씩에 그쳤다.
서울은 전국평균과 동일한 1.4%를 기록하였고, 경기는 1.5%를 기록하였다.
인플레이션(소비자물가상승률+)은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경제지표 중 하나이다.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(BoK)의 통화정책 목표는 "물가를 안정시키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루어 나간다" 이다.
한국은 미국과 동일하게 인플레이션 목표를 2%에 가깝지만 2%보다는 낮은 수준에 설정해두고 있다. 2%에 가까워지거나 2%보다 높아지게되면 일반적으로 긴축을 시행하는데 화폐발행규모를 축소해서 화폐의 가치상승, 물가하락을 유도하는 통화정책을 펴거나 금리인상을 통해서 투자하락을 유도하여 경제과열현상을 조절한다.
따라서 올해 하반기까지 한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지속적으로 상승랠리를 이어나가 2%를 초과하게 된다면 원화가치의 상승, 금리인상 등을 예상해볼 수가 있다.
(자료출처 : 통계청)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음으로 노래찾기 모바일 (0) | 2018.08.17 |
---|---|
베타큐정 효과, 효능, 주의사항 (0) | 2018.08.16 |
발시버정500mg 효능 및 주의사항 (0) | 2018.08.15 |
아연이 많은 음식 알아보기 (0) | 2018.06.17 |
핸드폰 팝업차단해제 방법 (0) | 2018.06.16 |
민원24 등본 쉬운방법 (0) | 2018.06.15 |
국민은행 대출이자계산기 사용법 (0) | 2018.05.31 |
인천벼룩시장구인구직 꿀팁 (0) | 2018.05.30 |